(Bloomberg, Sep/12/2024) China Can Avoid Japan’s Lost Decades If It Follows Korea’s Path
베이징이 전국적인 부동산 가치 하락을 억제하려 고심하는 가운데, 경제학자들은 재빨리 일본과의 유사점을 지적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에서 기업과 가계에 대한 은행 대출이 거의 20년 만에 처음으로 축소되었는데, 이는 수개월간의 약한 소매 판매 실적 이후 나온 결과로, 일본식 "대차대조표 불황 balance-sheet recession"이 진행 중임을 확인시켜 주는 것으로 보인다. (이 용어는 일본 경제 전문가인 Richard Koo가 대중화한 것으로, 소비자와 기업이 지출과 투자보다 부채 상환을 우선시하여 결과적으로 성장을 억제하는 상황을 가리킨다.)
아시아의 두 거대 경제 사이에는 다른 불안한 유사점들도 있다. 중국에서는 광범위한 물가 지수가 5분기 연속 하락을 기록했는데, 이는 1990년대 이후 가장 긴 디플레이션 기간이다. 지난 3년간 중국 본토와 홍콩 증권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주식의 시장 가치는 총 5조 달러가 감소했다. 1990년대 초 일본의 부동산 버블이 붕괴되었을 때, 그 이후에는 자산 가격 하락과 미약한 성장이 지속된 수십 년의 "잃어버린 시대"가 이어졌다.
그러나 일본화 주장 Japanification argument에는 한 가지 큰 한계가 있다: 중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과 도시화 수준은 1990년대 일본의 수준보다 훨씬 낮다. 이는 이 비유가 선진국 경제(일본)와 아직 그 지위를 얻으려고 노력 중인 경제(중국)를 한데 묶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표로 볼 때, 중국은 오히려 세기 전환기에 아시아 금융 위기라는 형태로 자체적인 재조정을 경험하고 이전보다 더 강해져 나온 한국과 훨씬 더 비슷해 보인다.
"1990년대의 일본은 중년과 같았습니다," '일본화인가 한국화인가? Japanization or Koreanization?'라는 제목의 보고서 저자이자 중국 SDIC Securities Co.의 분석가인 Shu Jiapei가 6월 베이징 대학교가 주최한 모임에서 말했다. "1998년의 한국과 오늘날의 중국은 더 이상 10대는 아니지만, 여전히 젊은 시기에 있으며 키가 몇 센티미터 더 자랄 수 있고 더 강해질 수 있습니다. 그것이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중국의 정책 입안자들에게 현재 가장 시급한 과제는 문제가 있는 부동산 시장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상쇄할 성장 동력을 찾는 것이며, 이 부분에서 한국이 로드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수십 년간의 급속한 성장이 끝났을 때, 한국의 위기 이후 지도자들은 방향을 전환했다. 금융 측면에서, 그들은 파산 기업들을 구조조정하고 기업 지배구조를 개선하여 향후 실패를 방지했다. 반면 일본은 좀비 기업들을 존속시켰고, 이는 결국 생산성과 성장에 악영향을 미쳤다.
한국의 지도부는 또한 서비스와 지식 기반 산업을 확충하는 데 힘을 쏟았다. 제조업체들은 이에 대응해 더 높은 기술의 제품 생산으로 전환하고 수출을 늘렸다. 반면 일본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결과를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오늘날 중국의 시진핑 주석은 과학기술 혁신을 국가 경제 변혁을 주도하는 "새로운 질적 생산력 new quality productive forces"이라고 칭송하고 있다. 중국은 일찍이 전기차를 받아들여 세계 최대의 전기차 시장으로 성장했고 자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글로벌 확장을 주도했다. 청정 기술에 대한 투자 또한 태양광 패널과 리튬이온 배터리와 같은 분야에서 중국이 주도권을 잡는 데 도움을 주었다.
S&P Global Ratings의 아시아-태평양 수석 경제학자인 Louis Kuijs는 위기 이후의 한국과 현재의 중국 사이에 유사점을 보는 이들 중 한 명으로, 중국이 생활 수준을 더욱 향상시키는 데 "상대적으로 좋은 위치"에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는 두 나라 사이의 두 가지 중요한 차이점도 지적한다: 중국에서는 경제에 대한 정부 개입이 더 만연해 있으며, 이미 거대한 수출국인 중국은 미국과 유럽에서 저항에 부딪히고 있는데, 이 지역의 정책 입안자들은 관세를 인상하거나 중국 수출품에 대한 다른 장벽을 세우고 있다. "우리의 중국에 대한 장기 성장 및 생산성 전망은 원칙적으로 한국과 대만의 궤적을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 두 가지 요인 때문에 중국에 '불이익'을 주고 있죠," Kuijs가 말한다.
정부 산하 싱크탱크인 중국사회과학원 일본연구소의 부소장 Yan Kun은 중국의 장기 경제 성장률이 4%에서 6% 사이를 맴돌 것으로 예측하며, 이는 일본보다 훨씬 나은 수준이라고 한다. (아시아 2위 경제인 일본은 2000년 이후 평균 0.8% 미만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일본은 90년대의 큰 기술적 진보 - 특히 인터넷의 광범위한 보급 - 가 제시한 기회를 잡지 못했다. 비슷한 운명을 피하고자 하는 베이징은 거의 10년 전 '중국제조 2025'라는 청사진을 공개했는데, 이는 차세대 산업들을 국가 우선순위로 지정했다. Yan과 그녀의 CASS 동료들은 4월에 출간된 책에서 전기차와 같은 분야에서의 중국의 리더십은 이러한 선견지명의 결과라고 주장한다.
물론 두 경제를 비교하는 것은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특히 그중 하나가 중국과 같은 거대 국가일 때는 더욱 그렇다. "중국은 한국보다 훨씬 큽니다," Macquarie Group Ltd.의 중국 경제 담당 책임자인 Larry Hu가 말한다. "세계가 한국의 부상을 수용하는 것보다 중국의 부상을 수용하는 것이 훨씬 어렵습니다." — *Malcolm Scott와 Yujing Liu*
'경영경제이론 >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성공은 노벨상 수상자들에게 미스터리 (7) | 2024.10.19 |
---|---|
중국이 어떻게 민간 부문을 '억제'했는가 (26) | 2024.09.14 |
중국 주택가격 다시 하락세 가속화 (4) | 2024.09.14 |
중국은 일본화가 될 것인가 한국화가 될 것인가? (4) | 2024.09.14 |
중국 경제의 진짜 문제는 무엇인가 (6) | 2024.09.11 |
CHINA’S “NEW TRIO” (9) | 2024.09.03 |
중국의 과잉 생산을 보여주는 5개 차트 (4) | 2024.09.02 |
중국, 일본 기업들에 경고 (0) | 2024.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