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달러 5

달러의 과도한 특권

(RBC, Apr/8/2025) It’s been a privilege  프랑스의 전 대통령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은 한때 미국 정부가 세계 기축통화를 발행할 수 있는 능력을 두고 “과도한 특권(exorbitant privilege)”이라고 표현한 바 있다. 지난 75년 동안 달러가 세계의 주요한 저축 수단 역할을 해왔다는 점이 미국 경제 성공에 기여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통화 패권에는 원하지 않았던 결과들도 따른다. 이를테면 재정 및 무역 불균형이 그것이다.  달러가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변화하고 있고—우리의 관점에서는 감소하고 있다고 보이는 상황에서—지금이야말로 투자자들이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 그리고 글로벌 통화 선호도의 변화가 세계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고민..

달러 2025.04.13

마러라고 합의

(CEPR, Apr/11/2025) Tariffs, the dollar, and the US economy: A discussion of the ‘Mar-a-Lago accord’  ‘마러라고 협정(Mar-a-Lago Accord)’의 지지자들은 미국 산업을 재건하고, 관세의 적극적인 활용과 특히 미국 달러의 세계 기축통화 지위 약화를 통해 미국의 경상수지를 개선하려는 야심을 공유하고 있다. 본 칼럼은 이러한 전략이 미국의 현 상황과 현재 체제가 미국에 주는 비용과 이익을 편향되게 인식한 데 기반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미국에 매우 자충수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마러라고 협정’이라는 개념은 미란(2024)의 영향력 있는 논문에서 비롯되었다.  페티스와 호건(2024) 역시 유사한 아이디어들을 발전시..

달러 2025.04.12

트럼프가 어떻게 달러를 무너뜨리는가

(Foreignaffairs, Apr/8/2025) How Trump Could Dethrone the Dollar 미국 달러는 70년 넘게 세계 무역과 금융에서 지배적인 통화로 자리해 왔다. 그동안 달러의 지위를 실질적으로 위협한 요인은 거의 없었다. 세계 경제 시스템은 상당한 관성으로 움직인다. 정부, 은행, 다국적 기업 등 주요 플레이어들은 무역과 금융을 수행하는 데 있어 검증된 방식을 선호한다.  종종 자극적인 기사들은 각국이 달러를 대체할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거나, 새로운 연합체가 경쟁 통화를 만들려 하고 있다거나, 워싱턴의 정치적 위기가 마침내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를 끝장낼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수십 년간 세계 경제 성장의 변화, 글로벌 시장의 혼란기, 미국 경제 정책의 향방에 대한 의문이 있..

달러 2025.04.11

달러, 기축 통화의 지위를 잃을 수도 있다

(Newsweek, Apr/8/2025) US Dollar Could Lose Reserve Currency Status amid Tariffs, Experts Warn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상대국들에 대해 관세 폭탄을 퍼부으면서 촉발된 시장 혼란으로 인해, 미국 달러의 지배적 지위가 위협받을 수 있다고 정책 전문가들이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조치를 '해방의 날(Liberation Day)'이라 명명하며 큰 기대를 걸었지만, 국제 관계와 미국 외교 정책을 다루는 전문지 포린 어페어스(Foreign Affairs)에 기고한 세 명의 선임 연구원들은 오히려 이번 조치가 달러 가치 자체를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워싱턴의 경제적 이점을 무기화하려는 대통령의 서투르고 변덕스러운..

달러 2025.04.11

달러의 역할, 과도한 특권인가

(Brookings, Jan/7/2016) The dollar’s international role: An “exorbitant privilege”? 이 글은 내가 진행한 먼델-플레밍 Mundell-Fleming 강연을 바탕으로 한 세 번째 글이다. 앞선 두 글에서는 최근 미국 통화정책에 제기된 두 가지 비판을 다루었다. 첫째는, 미국이 달러 가치를 절하해 무역에서 경쟁 우위를 얻으려는 이른바 '통화 전쟁'을 벌였다는 주장이다. 둘째는, 미국 통화정책의 변화가 특히 신흥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들의 금융안정성에 파급 효과를 미쳤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논쟁은 또 다른 질문을 낳는다. 다른 주요 중앙은행들도 공격적인 통화정책을 펼쳤음에도 왜 유독 연준이 이러한 비판의 중심이 되는가? 흔히 제시되는 답변은, 국제..

달러 2025.04.0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