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리뷰

역사의 교훈 : 생물학과 역사

주삼부칠 2024. 8. 21. 14:45

역사는 생물학의 한 조각이다. 

 

인류의 삶은 육지와 바다에서 일어나는 생물의 변화 중 일부일 뿐이다. 가끔 여름날 숲을 혼자 거닐다 보면, 수백 종의 생물들이 날아다니고, 뛰어오르고, 기어 다니고, 땅을 파는 모습을 보고 듣게 된다. 우리가 다가가면 놀란 동물들은 재빨리 도망가고, 새들은 흩어지며, 개울의 물고기들도 사라진다. 그때 문득 이 공평한 행성에서 우리가 얼마나 위험한 소수자인지 깨닫게 되고, 잠시나마 이 다양한 거주자들처럼 우리가 그들의 자연 서식지를 침범한 이방인 같다고 느낀다. 그러면 인간의 모든 역사와 업적이 다양한 생명의 역사와 관점 속에서 겸손히 자리 잡게 된다. 우리의 모든 경제적 경쟁, 짝을 위한 다툼, 우리의 배고픔과 사랑과 슬픔과 전쟁이 이 쓰러진 나무나 낙엽 아래, 또는 물속이나 나뭇가지 위에 숨어 있는 생물들의 추구와 짝짓기, 노력과 고통과 비슷하다는 걸 알게 된다.

그래서 생물학의 법칙이 역사의 가장 중요한 교훈이다. 우리는 진화의 과정과 시련, 생존을 위한 투쟁과 적자생존의 법칙에 따르게 된다. 우리 중 일부가 이런 투쟁이나 시련을 피하는 것 같아 보여도, 그건 우리가 속한 집단이 우리를 보호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집단 자체도 생존의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따라서 역사의 첫 번째 생물학적 교훈은 삶은 곧 경쟁이라는 것이다.

So the first biological lesson of history is that life is competition.

 

음식이 풍부할 때는 평화롭지만, 입이 음식을 앞지를 때는 폭력적이다. 동물들은 거리낌 없이 서로를 잡아먹고, 문명인들은 법의 적절한 절차를 통해 서로를 소비한다. 협력은 실제로 존재하며 사회 발전과 함께 증가하지만, 대부분 경쟁의 도구이자 형태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다른 집단과의 경쟁에서 우리 집단을 강화하기 위해 가족, 지역사회, 클럽, 교회, 정당, "인종" 또는 국가와 같은 우리 집단 내에서 협력한다. 경쟁하는 집단은 경쟁하는 개인의 특성을 가진다: 소유욕, 호전성, 편파성, 자부심. 우리 자신이 확대된 국가는 우리와 같다. 국가는 우리의 본성을 더 굵은 글씨로 쓰고, 우리의 선과 악을 거대한 규모로 행한다. 우리가 소유욕이 강하고, 탐욕스럽고, 호전적인 이유는 우리의 혈액이 수천 년 동안 우리 조상들이 생존하기 위해 쫓고 싸우고 죽여야 했고, 다음 식사를 곧 잡지 못할까 봐 위장 용량 한계까지 먹어야 했던 시절을 기억하기 때문이다. 전쟁은 국가의 먹는 방식이다. 전쟁은 궁극적인 형태의 경쟁이기 때문에 협력을 촉진한다. 우리의 국가들이 크고 효과적으로 보호받는 집단의 일원이 되기 전까지는 사냥 단계의 개인과 가족처럼 행동할 것이다.

역사의 두 번째 생물학적 교훈은 생명이 선택이라는 것이다. 

The second biological lesson of history is that life is selection.

 

음식이나 짝 또는 권력을 위한 경쟁에서 어떤 생물은 성공하고 어떤 생물은 실패한다. 생존을 위한 투쟁에서 어떤 개체들은 다른 개체들보다 생존의 시험을 더 잘 견딜 수 있는 장비를 갖추고 있다.

 

자연(여기서는 총체적 현실과 그 과정을 의미)은 미국 독립선언서나 프랑스 혁명의 인권선언을 그리 주의 깊게 읽지 않았다. 그래서 우리는 모두 자유롭지 않고 불평등하게 태어난다:

 

우리의 신체적, 심리적 유전에 종속되고, 우리 집단의 관습과 전통에 종속되며, 건강과 체력, 정신적 능력과 성격의 특성에 있어 다양하게 천부적 재능을 부여받는다. 자연은 선택과 진화의 필수적인 재료로서 차이를 좋아한다; 일란성 쌍둥이도 백 가지 면에서 다르고, 완전히 똑같은 완두콩은 없다.

 

불평등은 자연스럽고 타고난 것일 뿐만 아니라 문명이 복잡해질수록 심화된다. 

 

유전적 불평등은 사회적, 인위적 불평등을 낳고, 모든 발명이나 발견은 특별한 개인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포착되어 강자를 더 강하게, 약자를 상대적으로 더 약하게 만든다. 경제 발전은 기능을 전문화하고, 능력을 차별화하며, 사람들의 집단에 대한 가치를 불평등하게 만든다. 우리가 동료들을 철저히 안다면, 그들 중 30퍼센트를 선별할 수 있을 것이고, 이들의 결합된 능력이 나머지 모두의 능력과 맞먹을 것이다. 생명과 역사는 칼뱅의 신을 연상시키는 숭고한 부정의로 정확히 그렇게 한다.

자연은 우리의 유토피아에서 자유와 평등이 함께 있는 것을 보고 미소짓고 있다.

 

자유와 평등은 영원한 적이며, 하나가 우세해지면 다른 하나는 죽는다. 사람들을 자유롭게 두면, 19세기 영국과 미국의 자유방임주의 하에서처럼 그들의 자연적 불평등은 거의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불평등의 증가를 억제하려면 1917년 이후의 러시아처럼 자유를 희생해야 한다. 억압받을 때조차 불평등은 커진다.

 

오직 경제적 능력이 평균 이하인 사람만이 평등을 원하고, 우월한 능력을 의식하는 사람들은 자유를 원하며, 결국 우월한 능력이 승리한다.

 

평등의 유토피아는 생물학적으로 운명이 정해져 있으며, 온화한 철학자가 바랄 수 있는 최선은 법적 정의와 교육 기회의 대략적인 평등이다. 모든 잠재적 능력이 발전하고 기능할 수 있는 사회는 집단 간 경쟁에서 생존 우위를 가질 것이다. 거리의 소멸로 국가 간 대면이 심화됨에 따라 이 경쟁은 더욱 치열해진다.

역사의 세 번째 생물학적 교훈은 생명은 번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The third biological lesson of history is that life must breed.

 

자연은 풍부하게 재생산할 수 없는 유기체, 변이, 또는 집단을 쓸모없게 여긴다. 자연은 질의 선택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양을 열망한다. 자연은 큰 무리를 좋아하고, 살아남는 소수를 가려내는 투쟁을 즐긴다. 의심할 여지없이 자연은 한 개의 난자를 수정시키기 위해 상류로 달리는 천 개의 정자 경주를 흡족히 바라본다. 자연은 개인보다 종에 더 관심이 있으며, 문명과 야만을 크게 구별하지 않는다.

 

자연은 높은 출생률이 대개 문화적으로 낮은 문명과 함께 했고, 낮은 출생률이 문화적으로 높은 문명과 함께 했다는 것에 상관하지 않는다.

 

 

그리고 자연(여기서는 출생, 변이, 경쟁, 선택, 생존의 과정으로서의 자연을 의미)은 낮은 출생률을 가진 국가가 주기적으로 더 강건하고 다산한 집단에 의해 점령된다. Gaul - 고대 로마 시대에 사용된 지리적 용어로, 현재의 프랑스와 벨기에, 스위스의 일부, 그리고 네덜란드와 독일의 일부 지역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지역을 말함 - 은 카이사르 시대에는 로마 군단의 도움으로, 우리 시대에는 영국과 미국 군단의 도움으로 독일인들에 맞서 생존했다. 로마가 몰락했을 때 프랑크족이 독일에서 밀려들어와 Gaul을 프랑스로 만들었다. 만약 영국과 미국이 몰락한다면, 19세기 내내 인구가 거의 정체되었던 프랑스는 다시 침략을 당할 수 있을 것이다.

 

인류의 후손들이 식량 공급에 비해 너무 많다면, 자연은 균형을 회복하기 위해 세 가지 방법을 쓴다: 기근, 전염병, 그리고 전쟁이다. 토마스 맬서스는 유명한 '인구론'(1798)에서 이러한 주기적 제어가 없다면 출생률이 사망률을 크게 초과해 입의 수가 늘어나 식량 생산의 증가를 무효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성직자이자 선의의 사람이었지만, 가난한 이들에게 구호 기금이나 물자를 제공하면 그들이 일찍 결혼하고 무분별하게 번식해 문제를 악화시킨다고 지적했다. 2판(1803)에서 그는 생식 목적 외의 성관계를 자제하라고 조언했지만, 다른 피임 방법은 승인하지 않았다. 이런 성스러운 조언이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 그는 미래에도 과거처럼 기근, 전염병, 전쟁으로 입과 식량 사이의 균형이 유지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19세기 농업과 피임 기술의 발전은 겉보기에 맬서스를 반박했다: 영국, 미국, 독일, 프랑스에서 식량 공급이 출생과 보조를 맞췄고, 생활 수준 향상으로 결혼 연령이 늦춰지고 가족 규모가 줄어들었다. 소비자의 증가는 생산자의 증가이기도 했다: 새로운 '일손'이 새 땅을 개발해 더 많은 식량을 생산했다. 최근 캐나다와 미국이 국내에서 기근과 전염병을 피하면서 수백만 부셸의 밀을 수출하는 모습은 맬서스에 대한 살아있는 답변 같았다. 현존하는 농업 지식이 모든 곳에 적용된다면, 지구는 현재 인구의 두 배를 먹여 살릴 수 있을 것이다.

맬서스라면 물론 이런 해결책이 재앙을 미룰 뿐이라고 답할 것이다. 토양의 비옥도에는 한계가 있고, 농업 기술의 모든 진보는 조만간 출생이 사망을 초과하는 것으로 상쇄되며, 한편으로 의학, 위생, 자선은 부적합한 이들을 살려 번식하게 함으로써 선택을 무효화한다. 이에 희망은 이렇게 답한다: 현재 다산으로 세계를 위험에 빠뜨리는 국가들에서 산업, 도시화, 교육, 생활 수준의 발전은 유럽과 북미에서 그랬듯이 출생률을 낮출 것이다. 생산과 재생산의 균형이 올 때까지 피임 지식과 수단을 보급하는 것이 인도적인 조언일 것이다. 이상적으로 부모가 되는 것은 건강의 특권이어야 하며, 성적 흥분의 부산물이 되어서는 안 된다.

 

피임이 유해한 유전을 낳는다 - 즉, 이를 실천하는 국가의 지적 수준을 낮춘다는 증거가 있는가? 아마도 피임은 단순한 사람들보다 지적인 사람들이 더 많이 사용했을 것이고, 교육자들의 노력은 매 세대 무지한 이들의 다산으로 상쇄되는 것 같다. 

 

하지만 우리가 지능이라고 부르는 것의 대부분은 개인의 교육, 기회, 경험의 결과다. 그리고 이런 지적 획득물이 유전자로 전달된다는 증거는 없다. 박사들의 자녀들조차 교육을 받아야 하고 오류와 독단, 주의주의의 사춘기를 겪어야 한다. 또한 우리는 괴롭힘 받고 불우한 가난한 이들의 염색체에 얼마나 많은 잠재적 능력과 천재성이 숨어 있는지 말할 수 없다. 생물학적으로, 태어날 때의 신체적 활력이 지적 혈통보다 더 가치 있을 수 있다. 니체는 독일에서 가장 좋은 피가 농민의 혈관에 있다고 생각했다. 철학자들은 인종을 번식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재료가 아니다.

가족 계획은 그리스와 로마의 역사에서 어느 정도 역할을 했다. 줄리우스 카이사르가 기원전 59년에 자녀가 많은 로마인들에게 보상을 제공하고, 자식 없는 여성들이 가마를 타거나 보석을 착용하는 것을 금지한 것을 발견하는 것은 재미있다. 아우구스투스는 약 40년 후에 이 운동을 재개했지만, 마찬가지로 헛된 노력이었다. 상류층에서는 계속해서 산아제한이 확산되는 한편, 북부 게르만과 동부의 그리스 또는 셈족 이민자들이 이탈리아의 인구를 보충하고 변화시켰다. 이러한 민족적 변화가 정부의 무능과 외부 공격에 대한 주민들의 저항 능력이나 의지를 감소시켰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미국에서 앵글로색슨의 낮은 출생률은 그들의 경제적, 정치적 힘을 약화시켰고, 로마 가톨릭 가정의 높은 출생률은 2000년까지 로마 가톨릭 교회가 지방이나 주 정부뿐만 아니라 국가 정부에서도 지배적인 힘이 될 것임을 시사한다. 비슷한 과정이 프랑스, 스위스, 독일에서 가톨릭을 회복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볼테르, 칼뱅, 루터의 땅들이 곧 교황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다. 그래서 출생률은 전쟁처럼 신학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다. 투르 전투(732년)에서 이슬람교도들의 패배가 프랑스와 스페인에서 성경이 코란으로 대체되는 것을 막았듯이, 가톨릭의 우수한 조직, 규율, 도덕성, 충실성, 그리고 다산이 개신교 종교개혁과 프랑스 계몽주의를 무효화할 수 있다. 역사만큼 유머러스한 것은 없다.

 

Estimates of the population of ancient Rome

250 BC–130 BC: Census figures ranged from 150,000 to 400,000 citizens 

Before 300 AD: Some estimate the population was around 1 million, while others estimate it was as high as 2 million 


400 AD: Some estimate the population was 750,000–800,000 


450 AD: Some estimate the population was 450,000–500,000 


500 AD: Some estimate the population was 80,000–100,000, but others think it may have been twice that 
728x90

'북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빌드(BUILD) 창조의 과정  (5) 2024.12.14
인생은 순간이다  (4) 2024.10.27
히든 포텐셜  (10) 2024.08.31
The Singularity is nearer  (1) 2024.08.21
미국 자본주의의 역사  (3) 2024.07.20
ORIGINS 오리진  (1) 2024.07.20
스티브잡스  (2) 2024.07.14
역사가 대통령을 만든다.  (0) 20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