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미국주식의 역사 16

다우존스 지수 130년의 역사

다우존스 지수 130년의 역사 우리가 흔히 미국 시장이 올랐는지 내렸는지를 확인할 때 Dow Jones, S&P 500, Nasdaq 지수를 보는데 이 중에서 가장 오래된 지수는 Dow Jones 지수이다. ​한국의 경우 KOSPI와 KOSDAQ 두 가지를 운영하여 각 거래소에 속한 종목들의 총합으로 지수를 산정하기 때문에 미국 시장 또한 그러할 것이라고 생각되나, 미국은 모든 종목을 대상으로 지수를 산출하지 않고 대표 종목들을 선정하여 구성한 지수를 사용한다.​특히, Dow Jones의 경우는 30개의 종목만으로 지수를 산출하게 되는데 현재 기준으로 Dow Jones 지수를 구성하고 있는 종목은 다음과 같다. 아래에서 보듯 NYSE 거래소에서 23종목 그리고 NASDAQ 거래소에서 7종목으로 구성되어 ..

연방준비제도

우리나라의 한국은행과 같이 미국의 중앙은행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System, 보통 Fed라 줄여 부름)입니다. 1913년 창설된 연방준비제도는 미국의 중앙은행으로 연방준비제도이사회, 12개의 연준은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FOMC)와 약 2,800개의 회원은행 등의 독립기관으로 구성된 조직입니다. 연방준비제도의 특징은 우리나라의 한국은행처럼 단일의 중앙은행이 있는 것이 아니라 각 지역별로 연준은행들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권력이 한곳으로 집중되는 것을 두려워하고, 미국은 각 주가 연합하여 구성한 연방(聯邦)이라는 원칙을 중시하는 미국인들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각 지역별로 설립된..

미국주식 투자는 언제 시작되었을까?

미국주식 투자는 언제 시작되었을까? 끝없이 상승하는 미국 증시를 보면서 최근 미국 주식을 시작하신 분들은 "아 예 전이 미리 사둘껄 .. 넷플릭스는 잘될 것 같았는데 .. 나는 네이버 말고 구글만 썼 는데" 라고 생각하신 분들이 많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언제부터 미국주식 투자가 가능했을까? 한국예탁결제원(https://www.ksd.or.kr/ko/)의 '거주자의 해외증권투자-서비스 연혁' 을 보면 한국의 일반투자자가 '직접' 해외증시에 투자할 수 있게 된 것은 '1997년 7월'이다. 초기 개인의 투자한도는 1억원이었고 기관투자가를 제외한 일반법인의 한도는 3억원이었다. 물론 이 때는 인터넷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증권사 객장을 직 접 방문하거나 팩스 또는 전화를 사용해야..

'Bull Market'과 'Bear Market'의 유래

강세장을 'Bull Market'으로 표현하고, 약세장을 'Bear Market'으로 지칭하는 것에 대한 공식적인 기원 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여러 서적과 說 등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은 설명이 가장 설득력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 Wall Street에 따르면 'Bull Market'은 최근 최저점에서 지수가 20% 이상 상승하였 을 때 그리고 'Bear Market'은 최고점에서 20% 하락했을 때를 일반적으로 의미한다. 'bear'라는 단어는 향후 자산의 가격이 떨어질 것에 베팅하는 투기꾼을 의미하는데 이 단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18세기 초 런던 주식 시장이었다. 1709년 7월 7일 'Tatler' 신문에 다음과 같은 기사가 나온다. "귀족들과 장교들은 다른 고위직으로부터 'bear'를 샀는데..

미국 주식 시장의 역사

조선에서는 영조시대(1724~1776, 조선 제21대 왕)가 끝나고 정조시대(1776~1800, 제22대 왕)로 넘어가던 무렵인 1775년 미국에서는 13개의 식민지들이 영국으로부터 독립하기 위한 미국 독립 전쟁(1775년 4월 ~ 1783년 9월)이 발발하게 된다. ​ ​ 이 전쟁은 결국 1783년 미국의 승리로 끝났으나, 미국은 전쟁에 필요한 물자 구입을 위해 외부로부터 차입한 막대한 부채 상환이 기다리고 있었다. 미국은 부채 상환을 위해 1790년 8천만달러의 채권을 발행하게 되는데, 이 채권 거래가 바로 미국 최초의 투자 시장(Investment Market)의 시초로 기록되고 있다. ​ 그리고 2년후인 1792년, 24명의 주식중개인들이 현재의 월스트리트(Wall Street)가 위치한 Toti..

자본주의는 소에서부터 유래했다?

우리는 자본주의 시대에 살고 있다. ​ 윌리엄 게츠만의 '금융의 역사'라는 책을 읽어보면, 이미 기원전 2400년 전부터 복리의 개념과 부동산담보대출, 선물계약, 신용장 등의 기록이 쐐기문자로 기록되었다하니, 인류는 자본주의 Capitalism이란 단어가 생기기전에도 이미 자본주의가 생활의 일부가 되어 있었다. ​ 기원전 2400년경의 라가시의 엔메테나 국왕의 원뿔비 기념비에는 수메르어로 왕이 전쟁배상금을 복리개념으로 청구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 라가시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 시대의 도시 국가 중 하나였다. ​ Capitalism은 어떻게 탄생이 된 단어일까? 그 어원을 찾아가다보면 소 Cattle이라는 단어를 만나게 된다. 참고로 소 전체를 대변하는 단어는 Cattle이다.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