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연 리포트/금 Gold

금은 자꾸 왜 계속 오르는거야!

주삼부칠 2024. 8. 23. 02:43

 

 

(FT, 8/21/2024) Gold goes for it 금 가격은 계속 치고 나갈 것

 

제길, 금값이 계속 오르잖아! 나는 현금 흐름을 중시하는 사람이라 금을 좋아하지 않는다. 이런 나의 성향은 비싼 대가를 치루고 있다.

 

Barbaric, inert, yieldless and highly profitable

 

 

  • 야만적(Barbaric): 이는 종종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가 금본위제를 비판할 때 사용한 표현과 연관된다. 금을 현대 금융 시스템에 뒤떨어진, 원시적인 가치 저장 수단으로 보는 시각을 반영한다.
  • 비활성(Inert): 금이 화학적으로 안정적이어서 반응성이 낮다는 특성을 경제적 맥락으로 확장한 표현이다. 즉, 금이 그 자체로는 아무런 경제적 가치를 생산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담고 있다.
  • 수익이 없는(Yieldless): 금은 배당이나 이자와 같은 정기적인 수익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는 앞서 작성자가 자신을 '현금 흐름을 중시하는 사람'이라고 소개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 수익율은 높은(highly profitable): 금가격이 주식시장을 뛰어넘는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주식은 올해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 그러나 최근 온스당 2,500달러라는 사상 최고치를 넘어선 금은 역사적으로 뛰어난 한 해를 보내고 있다. 금이 S&P 500을 몇 퍼센트 포인트 앞섰다는 것만이 아니다. 금 투자자들이 주식과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이 주요 이점인 자산을 소유함으로써 이러한 수익을 얻었다는 점이다. 이는 말 그대로 헤지를 위한 것이다! 다른 전통적인(그리고 더 합리적인) 헤지 수단인 채권은 한참 뒤처져 있다. 굴욕을 느낀 금 회의론자는 여기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물어볼 수밖에 없다.

랠리의 일부는 이해하기 쉽다. 미국 금리 하락을 예상하며 달러가 약세를 보이고 있고, 금은 달러로 가격이 매겨진다. 실질 금리는 5월 이후 하락하고 있어 금을 소유하는 기회비용이 줄어들었다. 여기에 지정학적, 경제적, 재정적 불확실성에 대한 일반적인(모호한) 요인들을 더하면, 강한 금값을 위한 기본 요소들이 갖춰진 셈이다. 글로벌 중앙은행들이 금에 대한 준비금 배분을 늘리기 시작했다는 사실은 의미 있는 호재를 더한다.

또 다른 가능한 지지 요인은 중국의 부진한 경제다. 중국의 개인 투자자들은 자국 주식을 선호하지 않고 부동산에서도 손실을 봤다. 그러나 그들은 자산을 보관할 곳이 필요하다. 내 동료 로빈 하딩이 최근 쓴 글처럼, "전망이 너무 암울해 보이니, 중국 투자자들이 채권과 금으로 몰리는 것은 완전히 합리적으로 보인다".

로젠버그 리서치의 데이비드 로젠버그는 금이 머지않아 3,000달러에 도달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랠리를 위한 모든 일반적인 요소들이 갖춰져 있을 뿐만 아니라, 금은 충분히 보유되지 않은 상태다. 미국 가계는 주식에 대한 배분이 역대 최고 수준이며 헤지가 필요하다. 그들은 채권을 신뢰하지 않는다 - 재정 전망을 고려하면 아마도 그럴 만하다. 로젠버그는 "금은 충분히 보유되지 않은 자산"이라고 말한다.

언리미티드 펀드의 밥 엘리엇도 동의한다. 그는 이용 가능한 금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고 천천히 증가하기 때문에, 작은 투자자 이동만으로도 가격을 크게 움직일 수 있다고 지적한다.

 

반면 HSBC의 수석 귀금속 애널리스트인 제임스 스틸은 더 신중한 입장이다. 그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지적한다:

● 거래소 전반에 걸쳐 이번 여름 거래량이 적었다


  은과 백금이 보통 때와 달리 금을 따라 오르지 않고 있다

 

  최근의 높은 가격이 중국, 인도, 미국의 코인 및 바 시장에서 실물 수요를 "강타"했다

 

  최근의 가격 움직임은 대신 서구의 금융 매수자들이 헤지를 찾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미국 선거가 끝나고 미래가 더 확실해지면, 이 매수자들은 어떻게 될 것인가?

 

  모든 이가 이미 연방준비제도의 많은 금리 인하를 반영하고 있다

 

  중앙은행의 매수는 최근 몇 년간 강했지만 1분기와 2분기 사이에 감소했다; 중앙은행들은 아시아 소매 구매자들처럼 가격에 민감하다

이 모든 것이 불평 많은 금 약세론자의 귀에 음악과 같다. 다행히 금을 소유하고 있는 독자들은 아마도 다르게 느낄 것이다.

 

The origin of 25 basis point cuts 25 베이시스 포인트 금리 인하의 기원

왜 연준은 항상 정책 금리를 0.25%씩 움직이는 걸까? 왜 10분의 1, 3분의 1, 혹은 절반 단위가 아닐까?

이는 지금까지 잘 작동해왔고, 우리가 이에 익숙해졌기 때문이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캠퍼스의 게리 리처드슨의 설명이다:

 

1990년대에 [연준은] 실제로 연방기금금리를 목표로 삼기 시작했다... 앨런 그린스펀이 특정 연방기금금리를 목표로 삼도록 거래 데스크에 지시를 내렸지만, 그들은 엄청나게 정확할 수는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래서 그들은 목표로 삼을 더 작은 [차이의] 증분을 정했고, 이를 시장에 전달했다. 그들은 최소 단계로 25 베이시스 포인트를 선택했고, 그것이 효과가 있었으며, [공개시장] 위원회는 이를 계속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연방기금금리는 경제에 특정한 영향을 미칠 특정 금리 수준을 정확히 맞추는 것보다는 시장과 소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25 베이시스 포인트 단위는 연준의 언어로 생각할 수 있다. 25bp 인하나 인상은 "경제가 정상적인 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니, 모두 안심해도 된다"고 말하는 것이다. 50bp나 75bp 변화는 "이는 심각한 상황이며 우리가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시장의 공용어로 명확한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 금리 자체보다 더 중요하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