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ing to Win in a Shifting Technology Market
사모펀드 투자자들이 단순한 성장이 아닌 이익을 목표로 할 때, 가치 창출의 핵심은 운영 역량 operational acumen에 달려 있다.
At a Glance
높은 금리와 미래 성장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기술 부문에서 사모펀드 거래를 저해하고 있다. 변화된 점은, 성장을 우선시하던 관점에서 벗어나, 투자자들이 수익과 현금 흐름에 더 중점을 두면서 거래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성공하려면 새로운 역량이 필요하다. 이 불황에서 승리할 투자자들은 마진을 높이고 성장을 촉진하는 운영 개선을 찾아내는 데 능숙한 이들이 될 것이다.
불과 얼마 전만 해도 사모펀드 투자자들은 기술 거래가 2024년 중반까지는 반등할 것이라고 확신했다. 안정적인 금리 또는 금리 하락, 노후화된 포트폴리오, 그리고 업계에 쌓인 막대한 투자 자금이 다시 시장을 활성화시킬 것이라 기대했다.
하지만 상황은 그렇게 되지 않았다 It hasn’t turned out that way.
올해 상반기에 거래 시장은 바닥을 쳤고, 사모펀드 투자자들은 중앙은행이 언제 금리를 완화할지에 대한 불확실성과 씨름하고 있다. 여기에 많은 소프트웨어 서비스(SaaS) 기업들의 성장 전망이 불투명해지면서,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가치 평가에 대한 의견 차이가 커졌고, 결과적으로 거래가 지연되고 있다. 금리의 의미 있는 반전이 일어나지 않는 한, 기술 부문의 거래가 이전의 활기를 되찾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미 알 수 있는 것은, 하락기 동안 투자자의 기대가 변화했고, 이는 앞으로 몇 달 또는 몇 년 동안 기술 자산이 관리되어야 할 방식에 분명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기술 투자자들은 역사적으로 매출 성장과 멀티플 확장(기업 가치 평가의 기준 배수 확대)을 통해 사모펀드에서 높은 수익을 창출해왔다. 그러나 높은 금리 환경에서는 멀티플 확장이 더 이상 당연한 것이 아니며, 투자자들은 '40의 법칙'을 더 균형 있게 적용하려 하고 있다. '40의 법칙'은 성장률과 이익률의 합이 40% 이상이어야 한다는 자주 사용되는 평가 공식이다.
건강한 성장이 여전히 중요하지만, 오늘날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 자산은 강력한 성장 전망과 탄탄한 현금 흐름을 가진 자산이다. 예를 들어, EQT의 공급망 전문업체 Avetta 인수 사례를 보면, 이 회사는 부채를 포함해 30억 달러에 매각되었으며, 이는 2024년 예상 EBITDA(이자, 세금, 감가상각전 이익) 1억 2,500만 달러의 24배에 해당하는 수치다.
수익성에 대한 재조명은 그리 놀랍지 않다. 거래 활동은 둔화되었지만, 시장의 경쟁은 여전히 치열하다. Covid-19 이후 소프트웨어 분야에 뛰어든 다수의 멀티섹터 펀드들은 여전히 매물을 찾고 있으며, 그 결과 우수한 자산에 대한 가격은 여전히 높게 유지되고 있다.
구매자의 저주를 피하려면 그러한 가격을 정당화할 수 있는 성과를 반드시 이끌어내야 한다. 그리고 침투 곡선이 평탄해지는 성숙한 소프트웨어 부문에서는 단순히 새로운 시장으로 판매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기존 제품을 대체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금 흐름에서 나오는 강력한 연구개발(R&D)과 시장 진출 역량에 대한 투자가 매우 중요해진다.
이 환경에서 명확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투자자는 운영 개선을 통해 EBITDA를 증가시키는 데 능숙한 사람들이다. 성장을 훼손하지 않고 이를 실현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지만, 성공적인 기업들은 몇 가지 명확한 원칙을 따르고 있다.
Invest (and cut) strategically 전략적으로 투자하고 절감한다. 포트폴리오 기업들은 각 부문이나 제품 수준에서 수요와 수익 성장 목표에 맞춰야 한다. 또한, 자신들이 독보적으로 승리할 수 있는 영역과 그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리더들은 어떻게 불필요한 부분을 줄이면서도 핵심을 지킬 수 있는지 잘 알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제품 라인의 수익 성장 목표가 낮아진다면, R&D에서 유지보수 비용과 신제품 개발 비용을 재조정해 지출을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 각 부문에 단순히 10%의 비용 절감을 요구하는 것은 거의 올바른 해결책이 아니다.
Follow the money 시장 진출 및 연구개발(R&D)은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회사에서 가장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분야이며, 비용 조정의 주요 대상이 된다. 예를 들어, 신규 고객 유치(“hunting”)와 기존 고객 유지(“farming”)에는 각각 다른 기술과 보상 구조가 필요하며, 이 균형을 맞추는 것이 비용 절감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특정 SaaS 제품에 대한 예측된 구현 수가 줄어들면 서비스 요구 사항도 줄어들 수 있다. 최근 한 대형 사모펀드가 두 개의 유망한 SaaS 회사를 합병할 때, 상업 기능의 중복을 제거함으로써 비용 절감 기회를 발견했다. 그러나 성장을 저해하지 않으려면, 고객 풀을 철저히 평가하고 각 고객의 잠재력을 파악하여 최적의 공략 방법을 찾는 노력이 필요했다. 고객과 세그먼트를 깊이 이해한 후, 새로운 경영진은 가장 수익성 높은 시장에 집중하기 위해 제품 개발과 시장 진출 전략을 재설계했다. 이러한 전략적 조정으로 3천만 달러의 비용 시너지를 달성했을 뿐만 아니라, 70억 달러의 미개척 시장을 발굴하고, 기존 고객 100곳을 크로스셀링 대상으로 지정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결과적으로, 회사는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조직으로 거듭났다.
Get going on generative AI Generative AI 활용. 이러한 잠재적인 혁신 기술에 대한 과대광고에 휘둘리기 쉽지만, 성공을 거두는 사모펀드 투자자들은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을 인식하고 있다. 첫째, 이들은 이미 소프트웨어 개발과 고객 지원 같은 측정 가능한 이점을 제공하는 기능에서 생성형 AI 도구를 사용하여 운영 효율성과 효과를 높이는 계획을 가속화하고 있다. 둘째, 제품을 개선하거나 재구상할 방법을 탐색하고 있지만, 단기적인 매출 증가에 대한 기대는 현실적으로 조정하고 있다. AI는 소프트웨어 사업의 장기 전략 계획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이며, 이는 공격적인 움직임과 방어적인 대응 모두에 해당한다. 현재 중요한 것은, 오늘날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영역에서 이러한 기술들을 파일럿 테스트하고 배포하는 것이다.
Tackle change management head on 변화 관리에 정면으로 대응. 회사가 무조건적인 성장에서 현금 흐름과 수익성 중심으로 전환하는 과정은 문화적 변화를 요구하며, 이는 모든 수준에서 신중한 관리와 소통이 필수적이다. 사모펀드가 지원하는 회사들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는, 이사회에서 계획을 수립하는 사람들과 현장에서 이를 실행해야 하는 사람들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때문이다. 많은 조직들은 직원들이 업무를 처리하는 방식과 비즈니스 접근 방식을 변경해야 할 것이며, 새로운 가치 창출 계획에 따라 인재를 재평가해야 할 수도 있다. 조직을 동원하기 위한 명확한 전략은 성공의 필수 요소이다.
우리가 기술 거래가 언제 다시 활기를 되찾을지 예측할 수는 없지만, 다음 상승 주기의 승자는 단순히 매출 성장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포트폴리오 회사들이 지속 가능한 수익성 성장을 위한 역량을 구축하도록 도울 것이라는 점은 확실하다.
Tech M&A: The New Rules for Scope Deals
Successful deals focus on revenue synergies, not just cost savings
At a Glance
업계가 스코프 딜에 의존해 성장을 촉진하려는 경향은 당분간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인수자들은 종종 스코프 딜(Scope Deal, 범위 딜)이 의도한 가치를 실현하는 데 필요한 매출 시너지에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 규모 딜(scale deal) : 규모의 경제(economy of scale)를 목적으로 업종이 같기 때문에 통합의 범위가 아주 포괄적
- 범위 딜(scope deal) : 범위의 경제(economy of scope)를 목적으로비슷한 업종으로의 다각화를 통해 시너지효과 추구
제품 포트폴리오를 통합하지 못하는 것이 매출 시너지를 달성하는 데 가장 흔한 장애물로 작용한다.
기업들은 매출 시너지를 추구하면서도 비용 시너지의 필요성을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핵심 역량을 훼손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기술 분야에서 대규모 인수합병(M&A)이 더 많은 규제 장벽에 부딪히기 시작하자, 기업들은 새로운 역량, 제품, 또는 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스코프 딜로 M&A 활동을 전환했다. 이 변화는 매우 극적이어서, 지난 6년 동안 기술 산업 M&A의 거의 80%가 스코프 딜로 이루어졌다. 이는 대부분 다른 산업보다 훨씬 높은 비중이다.
현재로서는 기술 분야의 스코프 딜 인기가 줄어들고 대규모 인수로 복귀할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 빅테크 기업들은 여전히 엄격한 규제를 받고 있으며, 오히려 기술 산업 내 M&A는 더욱 예측 불가능해졌다. 규제 당국은 대규모 인수뿐만 아니라 스코프 딜에도 도전장을 내밀며, 기업들이 몇 개월 동안 마무리가 지연될 수 있는 길고 복잡한 규제 절차를 견디도록 요구하고 있다.
문제는 거래 유형이 변했음에도 불구하고, 너무 많은 기술 기업들이 M&A 프로세스를 이에 맞게 조정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 결과, 많은 기업들이 대규모 인수 플레이북에 의존하는 것이 스코프 딜의 목표 가치를 실현하지 못하게 만든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The big challenges
스케일 딜이 주로 비용 시너지를 창출하는 데 중점을 두는 반면, 스코프 딜은 매출 시너지에 크게 의존한다. 기업들은 크로스셀링을 통해 단기적으로, 그리고 제품을 통합하여 장기적으로 매출을 성장시킬 계획을 세운다. 그러나 너무 자주 거래의 복잡함 때문에 의사결정자들이 이러한 목표에 집중하지 못하고, 결국 제품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우리 조사에 따르면, 제품 포트폴리오 통합 실패는 매출 시너지를 실현하는 데 있어 가장 흔한 도전 과제이다.
매출 시너지를 추구하면서도 비용 시너지의 필요성도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상황은 더 어려워진다. 특히 고금리 환경에서는 비용 시너지가 회사가 비싼 부채를 최대한 빨리 상환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상당한 비용 시너지를 달성하기 위해 움직이다 보면, 기업은 매출 시너지를 뒷받침할 역량을 훼손할 위험에 처하게 된다.
또한 인재 문제가 있다. 팀을 통합하는 것은 항상 어려운 과제이며, 특히 각 사업의 인재와 문화가 다를 때 더 그렇다. 단기적으로 명확한 비전이나 성장 전략이 없다면, 기업은 핵심 인재들이 떠나는 것을 목격할 위험이 있다. 직원들은 변화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고, 자신들이 기대했던 "함께 해서 더 나아진다"는 비전을 보지 못한다고 생각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거래가 완료되기 전에 기본 비즈니스에 대한 위험은 항상 존재하지만, 규제 승인 절차로 인해 스코프 딜의 사전 종료 시간이 길어지면서 불확실성이 더 커진다. 예를 들어, 경쟁사들이 그 기간 동안 고객과의 관계를 강화할 시간도 늘어나게 된다.
What can tech companies do?
첫 번째 조치는 기술 M&A의 새로운 현실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스코프 딜과 매출 시너지가 중심인 세상에서, 20년 된 비용 절감만을 목표로 한 플레이북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 대신, 거래의 각 단계에서 플레이북을 수정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Update the diligence approach. 실사 접근 방식을 업데이트하라. 단순히 재무 상태와 시장 성장만을 점검하는 것이 아니라, 비전을 설정하고 시나리오를 테스트하며 내부 리더십을 거래 논리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 실사를 고객 목소리 연구를 기반으로 한 매출 시너지 기회(시장 진출 전략과 제품 시너지 모두)에 대한 데이터 기반의 관점을 개발할 기회로 활용하라. 실사에 인재와 문화와 같은 비재무적 요소도 포함시켜야 한다.
Make the most of pre-close planning and alignment. 사전 종료 계획과 조정의 중요성을 극대화하라. 점점 더 커지는 규제 장벽을 이해하고, 거래 전략과 통합 계획을 그에 맞게 조정하라. 새로운 모토는 "최악을 대비하되, 최선을 준비하라"가 되어야 한다. 이는 조기 종료와 지연된 종료 모두에 대비할 수 있도록 유연하고 단계별 접근 방식을 포함하는 사전 종료 통합 계획을 의미한다. 스코프 딜에도 엄격한 규제가 적용되고 있는 만큼, 긴 시간이 소요될 것을 예상해야 한다.
데이터에 따르면, 규제 심사를 받지 않는 거래는 보통 약 3개월 내에 종료된다. 그러나 규제 당국이 추가 정보를 요청하면, 그 기간은 6개월 이상 길어질 수 있으며, 법적 분쟁으로 이어진 경우 최대 2년까지 지연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은 종종 전 세계 여러 규제 기관에서 발생하며, 특히 100억 달러 이상의 대규모 거래는 더 많은 심사를 받게 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액티비전 블리자드 거래는 여러 규제 기관의 도전을 받았으며,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와 영국의 경쟁시장청(CMA)이 구조 조정 조건과 일정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면서 거래가 지연됐다.
Accelerate Day 1 revenue synergies. 또 다른 중요한 사전 종료 단계는 영업팀이 즉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판매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가장 가치 있는 기회에 집중하여, 첫날부터 실행 가능한 영업 전략을 세우고, 특정 영업 담당자와 고객 목록을 정교하게 설정해야 한다. 영업팀이 성공할 수 있도록 영업 전략 책(run book)을 제공하고, 영업사원들에게 어떻게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지, 그리고 "함께 해서 더 나아진다"는 이야기가 어떻게 그들에게 도움이 되는지를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 명확한 참여 규칙과 적절한 보상 구조도 함께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사전 종료 계획의 요소들은 제품 통합에 투자할 시간을 벌어줄 것이다. 그러나 인재와 문화에 대한 신중한 접근 방식을 마련하는 것도 필수적이다. 엔지니어링 및 AI 데이터 과학자와 같은 핵심 인력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제안을 통해 이들을 초기에 참여시키고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 또한, 주요 문화적 "단층선"—즉, 잠재적으로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는 차이점—을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투자하여 통합 계획 팀이 그에 맞는 분위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히타치의 실리콘밸리 기반 기업인 글로벌로직 인수 사례는 성공적인 사례로 꼽을 수 있다. 히타치는 글로벌로직의 디지털 엔지니어링 역량을 강화하기를 원했지만, 문화적 차이가 장애물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다. 주요 위험 중 하나는 글로벌로직이 히타치 또는 다른 대기업에 인수되면서 고유한 강점을 잃는 것이었다. 히타치는 이러한 문화적 단층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투자를 했고, 여러 워크숍과 대면 방문을 진행했으며, 각 지역에 걸친 팀을 구성해 잠재적인 오해를 해소하려 했다. 이러한 투자는 글로벌로직의 문화를 보존하는 데 그치지 않고, 히타치가 그 문화를 통해 혁신을 촉진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왔으며, 그 교훈을 자사에도 적용했다.
Know how to motivate immediately post close. 즉시 동기 부여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거래 종료 직후에는 매출 시너지 목표를 달성하는 데 집중하고, 첫날부터 영업팀이 성공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이를 위해 승리의 공간(win room)을 설정하고, 영업 교육을 제공하며, 공유 계정에서의 영업 인센티브와 규칙을 일치시켜야 한다.
Plan for longer-term integration, making product synergies key to revenue growth. 장기적인 통합을 계획하면서, 제품 시너지를 매출 성장의 핵심으로 만들어야 한다. 가장 성공적인 기업들은 전략적으로 제품을 결합하여 차별화된 고객 가치를 제공하는 새로운 제안을 개발하고, 통합된 플랫폼을 구축하여 장기적인 매출 시너지를 창출한다.
고객과의 소통도 중요한데, 거래 초기부터 통합된 제품의 초기 가치를 보여주고 명확한 공동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 통합 관리 사무소의 일환으로 전담 다기능 팀을 구성해 전략적 제품 계획을 가속화하고, 규제 지침 내에서 운영해야 한다. 또한, 인재 관리에 계속 집중하면서 통합 과정에서 중요한 순간에 집중해야 한다.
이 새로운 환경에서 거래는 그 어느 때보다 비용이 많이 들고 성장은 더 큰 리스크를 수반한다. 그러나 성공적인 거래의 핵심은 가치 창출에 있다. 탄탄한 M&A 역량과 맞춤형 통합 전략을 가진 기업은 거래의 각 단계에서 더 빠르고 확신 있게 움직일 수 있다.
Sovereign AI Is the Next Fault Line in the Global Tech Sector
The electronics supply chain was only the start of tech’s global decoupling.
At a Glance
소버린 AI 블록이 전 세계적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각국 정부는 자국의 컴퓨팅 인프라와 AI 모델을 지원하기 위해 수십억 달러를 보조하고 있다.
지역 기반 데이터 센터 제공업체들은 향후 몇 년 동안 새롭게 온라인에 연결되는 컴퓨팅 용량의 거의 4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소버린 AI의 추진에도 불구하고, 기술 대기업들의 글로벌 규모와 막대한 자금력은 국내 경쟁자들에 비해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
데이터 센터 운영자들은 단기적으로는 횡재를 누리겠지만, 과잉 용량의 실제 위험이 있다.
기술 기업들이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돌파구를 활용하기 위해 경쟁하면서, 이제 경영진들은 추가적인 복잡성과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세계 각지에서 등장하는 '소버린 AI' 블록의 출현이다.
기술 분야의 탈세계화는 전자 공급망, 특히 반도체에서 시작되었다. Covid-19로 인한 혼란과 미중 간의 지정학적 긴장(수출 통제 및 무역과 인재에 대한 제한적 정책 포함)으로 인해 기술 기업들은 공급망을 더 탄력적으로 만들기 위해 빠르게 투자해야 했다. 그들은 중국 외의 지역으로 제조 발자취를 확장하고, 인재 풀 내에서 더 많은 유연성을 확보했다. 정부의 지원을 받아, 미국, 인도, 독일, 일본 등지에 새로운 반도체 허브를 구축하고 있다.
이제 기술의 탈세계화 움직임은 데이터, AI, 보안, 프라이버시 분야로 확산되고 있다. 전 세계 정부들, 특히 인도, 일본, 프랑스, 캐나다, 아랍에미리트 등은 소버린 AI를 지원하기 위해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다. 즉, 그들은 자국 내에서 개발된 컴퓨팅 인프라와 AI 모델, 그리고 현지 데이터와 언어로 훈련된 AI 모델에 투자하고 있다.
소버린 AI와 반도체 공급망의 분리를 비교하기 쉽지만, 두 가지 도전 과제는 매우 다르다. 예를 들어, 지적 재산권이 분산된 복잡한 공급망을 가진 반도체 시장과 달리, AI 시장은 진입 장벽이 낮다. 이는 주로 오픈소스 LLM 덕분에 새로운 AI 제품을 출시하는 것이 더 간단해졌기 때문이다.
소버린 AI의 추진이 가속화됨에 따라, 몇 가지 요인이 그 결과를 결정할 것이다.
Factors favoring sovereign AI
1. National interests: 정부들은 로컬화된 AI를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 국가 안보 보장, 자국의 첨단 기술 생태계 구축 또는 강화, 그리고 경제 성장의 필수 요소로 보고 있다. AI와 클라우드 컴퓨팅 역량을 다른 나라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 없는 이유는 경제적 가치를 보호해야 하며, AI 경쟁을 주도하는 미국과 중국의 분리 현상 때문이다.
2. Infrastructure: AI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물리적 인프라는 다른 공공 시설처럼 어디에선가 구축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 센터, 컴퓨팅 용량, 전력망에 대한 대규모 자본 투자가 필요하다. 이러한 투자는 전력망의 친환경 전환과 같은 다른 국가 인프라 문제와 맞물리게 되며, AI의 막대한 전력 수요는 이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 것이다.
향후 몇 년 동안 신규 컴퓨팅 용량의 거의 4분의 1을 지역 기반 데이터 센터 제공업체들이 차지할 예정인 반면, 대형 기술 기업들은 가장 많은 용량을 추가할 계획이다(그림 1 참조). 주목할 만한 점은, 지난 한 해 동안 각국 정부가 최소 40,000개의 그래픽 처리 장치(GPU)를 직접 주문했다는 것이다.
3. Regulatory strategies: AI 규제 전략은 국가별로 갈라지고 있다. 미국, EU, 중국 등 주요 AI 시장은 현재까지 매우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
4. Localization: 많은 AI 모델은 현지 언어와 맥락에 맞게 특화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일부 애플리케이션은 보안 및 프라이버시 규정을 준수하고, 현지 시장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국가별로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헬스케어, 교육, 농업 분야에서의 AI 활용 사례는 선진국과 신흥 경제국 간에 크게 다를 것이다.
Factors working against sovereign AI
1. Scope of subsidies(보조금의 범위): 현재까지 각국 정부는 반도체 공장에 제공된 수준만큼이나, 글로벌 대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규모로 성장할 수 있는 현지 챔피언을 육성하는 데 필요한 정도의 보조금을 국가 AI 프로젝트에 지원하지 않았다. 아랍에미리트 정부 산하 기관이 수억 달러를 지원한 강력한 오픈소스 LLM 시리즈인 Falcon은 눈에 띄는 예외이다.
2. Global scale(글로벌 규모): 이는 여전히 성공적인 AI 플랫폼 개발에 중요한 이점을 제공하며, 여기에는 네트워크 효과(예: 대규모 개발자 생태계에 대한 접근), 막대한 자금력, 전 세계 운영을 통해 R&D 비용을 분산할 수 있는 능력 등이 포함된다. 지난 몇 년간 LLM 훈련 비용은 급격히 증가했으며, 가장 비싼 모델의 비용은 1억 달러를 초과했다(그림 2 참조). 더 작고 비용 효율적인 모델도 출시되고 있지만, 비용 구조는 여전히 대규모 글로벌 기업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3. Incumbents’ adaptation(기존 기업의 적응): 글로벌 기술 기업들은 각국 정부의 소버린 AI 추진에 대응하여, 운영을 현지화하고 현지 규정을 준수하며, 현지 기업과 합작투자 형태로 대응하고 있다.
4. Practical realities(현실적인 문제): 현지 경쟁자들도 다국적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토지 확보, 규제 승인, 전력 및 연결성 등 AI 프로젝트 추진에 필수적인 요소들에 대한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다.
Takeaways for executives
성공적인 소버린 AI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매우 비용이 많이 들 것이다. 반도체 공장을 건설하는 것보다 일부 중요한 면에서 덜 복잡하긴 하지만, 이러한 프로젝트는 단순히 현지 보조금을 확보하는 것 이상이 필요하다.
하이퍼스케일러와 다른 대형 기술 기업들은 계속해서 현지화된 운영에 투자할 수 있다. 이는 그들의 생태계와 R&D를 글로벌하게 분산시킬 수 있지만, 여전히 그들의 규모는 중요한 이점으로 남아 있을 것이다. 새로운 AI 작업 부하와 주권으로 인한 분산화는 AI 도전자가 하이퍼스케일 수준에 도달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자는 현재 하이퍼스케일러 생태계의 강점을 인식하고, 경쟁 우위를 활용한 비즈니스 기회를 우선시하며, 가능할 때 대형 기술 기업들과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데이터 센터 운영자와 하드웨어 공급업체는 기업과 정부가 컴퓨팅 용량에 대규모 투자를 하면서 단기적으로 큰 이익을 얻을 것이다. 예를 들어, Nvidia는 2024년 정부의 소버린 AI 투자로 인해 100억 달러의 수익을 예상했으며, 이는 작년의 0에서 증가한 것이다. 그러나 데이터 센터 소유주는 2000년대 초반 통신망과 유사하게 과잉 용량의 위험을 안고 있다. 실리콘과 다른 하드웨어 공급업체는 단기적으로 가속화된 성장률을 경험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성장률이 안정화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투자자들은 새로운 하위 자산 클래스 등 고가치 자산 클래스에 투자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GPU에 연계된 담보 대출이 기업 부채의 보다 일반적인 형태가 되고 있다. 성공적인 투자자는 명확한 위험/수익 프로필을 바탕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며, GPU 및 데이터 센터와 같은 저위험 투자와 LLM 및 클라우드 플랫폼과 같은 고위험/고수익 투자 사이에서 결정을 내릴 것이다.
'Global IB > B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인앤드컴퍼니, AI 보고서 5 (8) | 2024.09.27 |
---|---|
베인앤드컴퍼니, AI 보고서 4 (9) | 2024.09.27 |
베인앤드컴퍼니, AI 보고서 3 (15) | 2024.09.27 |
베인앤드컴퍼니, AI 보고서 1 (12) | 2024.09.26 |